728x90

검사와 건강 9

NK세포가 활발해야 암도 바이러스도 안 무섭다!:[NK세포활성도 검사] 내 몸의 면역력, 숫자로 확인해보세요

면역력’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무엇인가요?비타민? 운동? 맞습니다. 그런데 사실 우리 몸속에서 가장 먼저 나를 지켜주는 세포가 따로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바로 오늘 소개할 NK세포, 자연살해세포입니다. ✅ [NK세포란?] 바이러스와 암세포를 감지하고 제거하는 '자연 살해세포' 우리 몸의 최전방 면역수비수, NK세포에 대해 들어보셨나요?NK세포(Natural Killer Cell, 자연살해세포)는 선천적인 면역을 담당하는 특별한 백혈구로, 몸 안에서 비정상적인 세포를 찾아내어 즉각적으로 제거하는 강력한 면역세포입니다. ✅NK세포, 어떤 역할을 할까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 ◈ 암세포처럼 비정상적인 세포,이런 세포들을 직접 찾아내어 제거하는 것이 NK세포의 주된 임무입니다.특히나 NK세포..

검사와 건강 2025.04.22

치매 검사 : 치매 진행 단계 7단계: (K-MMSE와 GDS 검사)로 알아보는 치매의 시작부터 말기까지

“어르신이 요즘 자꾸 깜빡깜빡하셔서 걱정돼요.”“기억력이 예전 같지 않은데 혹시 치매가 아닐까요?”“표정도 없고, 의욕이 없으신 것 같아서 우울증이 걱정돼요.”이런 고민, 한 번쯤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나이가 들수록 기억력과 집중력이 떨어지는 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가 단순한 노화의 일부인지, 아니면 치매나 우울증 같은 질환의 신호인지 구분하는 건 매우 중요해요.오늘은 이런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두 가지 대표적인 검사인 **K-MMSE(치매선별검사)**와 **GDS(전반적 퇴화 척도)**에 대해 친절히 안내해 드릴게요. 📊 치매 선별검사 문진표 (K-MMSE=korea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MMSE는 치매를 조기에 선별..

검사와 건강 2025.04.17

갑상선 기능 검사 완벽 정리 : "피곤하거나 붓고 체중이 변한다면?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항진증 의심?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강검진에서 자주 등장하는 **‘갑상선기능검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해요. 이름만 들어도 뭔가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우리 몸의 중요한 호르몬 밸런스를 확인하는 아주 소중한 검사랍니다.  🍀갑상선= 갑상샘( thyroid gland )이란?갑상선은 목 앞쪽, 목젖 아래쪽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기관이에요. 작지만 아주 중요한 일을 해요. 바로 **몸의 에너지 대사 속도를 조절하는 호르몬 ( T3, T4)**을 만들고 분비하는 역할을 하죠.갑상선이 잘 작동하면 체온, 심장 박동, 체중 유지, 기분 조절까지 숨어 있는 많은 일들을  원활하게  합니다.Thyroid(티록신)이라는 이름은 **방패를 뜻하는 그리스어 'Thyreos'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갑상선구조 요약  크기와 무게..

검사와 건강 2025.04.12

피검사로 암을 진단한다? 종양표지자와 액체생검의 차이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건강검진을 받을 때 "혹시 피검사로 암도 알 수 있나요?"라는 질문, 많이들 하시죠?요즘은 피 한 방울로도 여러 가지 질병을 예측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어요. 물론 암도 예외는 아니에요.이번 글에서는 피검사로 어떤 암을 검사할 수 있는지, 그리고 정확도나 한계는 어떤지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종양표지자검사(피검사)로 암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암세포는 우리 몸 안에서 활동할 때 특이한 **물질(종양표지자)**을 만들어내요.이 물질들이 혈액 속에 녹아 나오면, 피검사를 통해 그 농도를 확인할 수 있어요.이런 검사들을 **종양표지자 검사(tumor marker test)**라고 해요.다만, 피검사만으로 암을 100% 진단할 수 있는 건 아니고,암의 가능성을 의심해보는 용도로 사용된다는 점 기억해 주..

검사와 건강 2025.04.10

CT와 MRI의 차이점, 장단점 및 검사 방법

병원에서 CT(컴퓨터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또는 MRI(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검사를 권유받을 때, 두 검사 중 어떤 것이 더 적절한지 궁금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CT와 MRI는 모두 인체 내부를 영상화하는 중요한 의료 영상 장치이지만, 원리와 장점, 검사 방법 등이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CT와 MRI의 차이점, 장단점, 검사 방법, 적응증(언제 필요한지)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CT와 MRI의 기본 원리 2. CT와 MRI의 장점과 단점 1) CT(컴퓨터 단층촬영)◈장점✔ 빠른 촬영 (응급 환자에게 적합)✔ 폐, 복부, 뼈 등의 구조를 선명하게 확인 가능✔ 뇌출혈, 골절, 폐렴 등 응급 질환 진단에 효과적✔ 조영제를..

검사와 건강 2025.03.26

방사선이 문제라면:; CT 자주 찍으면 몸에 안 좋을까요?

요즘 병원 가면 CT 찍는 일이 참 많죠. 저도 얼마 전 병원에서 의사 선생님이 “정밀하게 보려면 CT 한번 찍자” 하시길래,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CT 그렇게 자주 찍어도 괜찮은 걸까? 방사선 많이 쐬면 안 좋다던데…”혹시 여러분도 비슷한 걱정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오늘은 CT 촬영이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자주 찍으면 위험한 건지, 쉽게 한번 풀어드릴게요! 📸 CT 촬영이 뭔가요?CT는 엑스레이(X-ray)처럼 몸을 찍는 검사인데요, 훨씬 더 정밀하게 내부를 볼 수 있습니다.. 마치 몸을 얇게 얇게 썰어서 단면을 보는 것처럼 보여주는 기술입니다.그래서 응급실이나 종합검진, 큰 병원 진료에서는 CT를 많이 사용합니다.. 뼈나 장기 상태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거든..

검사와 건강 2025.03.24

CT 검사비용,검사과정,조영제 , 방사선문제,주의사항,원리, 종류까지

현대 의학에서 빠질 수 없는 진단 도구 중 하나가 바로 CT(전산화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입니다. 병원 진료나 건강검진에서 한 번쯤은 들어봤을 CT, 정확히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할까요? 이 글에서는 CT의 원리부터 종류, 검사 과정, 장단점, 주의사항까지 CT에 대한 모든 것을 일목요연하게 알려드립니다. CT(= Computed Tomography =전산화 단층촬영)에 대한 모든 것◈ CT란?**CT(Computed Tomography)**는 X선을 투과시켜 그 흡수 차이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단면을 촬영하고, 이를 컴퓨터로 재구성하여 3차원 이미지로 보여주는 진단 기술입니다. 기존의 일반 X선 촬영이 2차원 평면 이미지라면, CT는 다양한 각도에서 X선을 쏘아 복잡한 구조..

검사와 건강 2025.03.23

대변독소검사(CDT) 양성 원인 치료 예방하는 법 :설사가 멈추지 않는다면 항생제 부작용 의심해 보세요

최근 들어 항생제 복용 후 설사를 경험한 적이 있나요? 단순한 배탈이나 장염일 수도 있지만,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독소 감염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병원이나 요양시설에서 흔히 발생하며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치명적일 수도 있는 감염증입니다. 오늘은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C. diff) 감염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는지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독소(Clostridium difficile toxin=CDT) 감염이란?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은 장내에서 독소를 생성하여 심한 설사와 복통을 유발하는 세균입니다. 건강한 장에서는 유익균들이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C. diff)의 증식을 억제하지만, 항생제 복용 등으..

검사와 건강 2025.03.17

당화혈색소((HbA1c), 혈당 관리의 핵심! 지난 3개월의 혈당 상태를 한눈에!

당화혈색소(HbA1c)란? 당뇨병 관리의 핵심 지표혹시 건강검진 결과에서 '당화혈색소'라는 항목을 본 적이 있으신가요? 이름만 보면 어렵고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 이것은 우리의 혈당 상태를 한눈에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특히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관리하려는 분들에게는 꼭 알아두어야 할 요소죠. 오늘은 당화혈색소(HbA1c)가 무엇인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어떻게 관리할 수 있는지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당화혈색소(HbA1c)란?당화혈색소(Hemoglobin A1c, HbA1c)는 혈액 속 적혈구의 혈색소(헤모글로빈)와 혈당(포도당)이 결합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지난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치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당뇨병의 진단과 관리에 널리 활용됩니다.당화혈색소 ( HbA1c) ..

검사와 건강 2025.03.16